로고

인구 앞세워 경제대국 꿈꾸는 인도…실업 등 난제는 수두룩

올해 세계 1위 인구 대국 확실시…2029년 GDP 세계 3위 전망
제조업·인프라·보건 등 여전히 열악…"정부가 두루 투자해야"

김근식 기자 | 기사입력 2023/04/20 [15:50]

인구 앞세워 경제대국 꿈꾸는 인도…실업 등 난제는 수두룩

올해 세계 1위 인구 대국 확실시…2029년 GDP 세계 3위 전망
제조업·인프라·보건 등 여전히 열악…"정부가 두루 투자해야"

김근식 기자 | 입력 : 2023/04/20 [15:50]

▲ 인도 뭄바이의 한 기차역에 몰린 인파. 연합뉴스



인도가 중국을 제치고 '세계 1위 인구 대국'이 되고 있다는 평가가 이어지면서 '덩치'를 앞세운 인도 경제의 앞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9일 공개된 유엔인구기금 세계인구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중반 인도 인구는 14억2천860만명으로 중국의 14억2천570만명보다 약 300만명 더 많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지난해 중국의 인구가 줄어들면서 작년 말 이미 인도의 인구가 중국을 추월했다는 추정도 나온다.

인도는 2011년 이후 인구조사를 하지 않은 상황이라 정확한 인구수 비교는 당분간 어려울 전망이다.

다만, 중국의 인구는 앞으로도 계속 줄어들고 인도의 인구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국제사회에서 인도의 '인구 파워'는 더욱 강력해질 것이란 예측은 더욱 힘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인도 국영 스테이트뱅크오브인디아(SBI)는 최근 인도의 국내총생산(GDP) 규모가 2029년에는 미국, 중국에 이은 세계 3위가 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인도 인구의 47%가 25세 이하로 세계에서 젊은 노동력이 가장 풍부하다는 점이 이런 경제 성장을 위한 중요한 자산으로 평가받는다.

인도로서는 앞으로 수십 년 동안 인구배당효과를 누릴 수 있는 셈이다. 인구배당효과는 생산가능 인구 비율이 높아져 부양률이 감소하고 경제성장이 촉진되는 현상을 말한다.

하지만 상당수 전문가는 세계 최대 인구 대국 인도의 앞날이 장밋빛만은 아니라는 점을 지적한다. 경제 대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풀어야 할 난제가 수두룩하다는 것이다.

우선 인구 잠재력을 충분히 활용하기엔 인도의 경제·사회적 여건이 전반적으로 여전히 열악하다는 점이 지적된다.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으로 자국 산업 육성에 공을 들이고 있지만 인도는 여전히 제조업 기반과 인프라가 취약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큰 공장 등 탄탄한 직장이 많지 않다 보니 사회에 배출되는 젊은 층 상당수는 비정규직이나 일용직 또는 농업에 종사하는 게 현실이다.

인도의 실업률은 지난 3월 기준 7.8%로 집계됐으며 실제 실업 상황은 공식 집계보다 훨씬 나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인도가 지금 같은 경제 성장을 유지하려면 매년 900만개의 일자리가 새롭게 필요한데 현재의 산업 여건으로는 이를 공급하기가 쉽지 않은 형편인 것으로 전해진다.

전문가들은 일자리 증가 없이 경제가 성장한다면 인도가 매우 불안정한 상황에 부닥칠 것이라고 경고한다.

인구의 절반인 여성의 취업률이 매우 낮다는 점도 큰 부담이다.

여성은 지난해 10월의 경우 경제활동 가능 연령의 10%만 일자리를 얻었다. 중국의 69%와 비교하면 크게 낮은 수준이다.

노년층 인구의 비중이 서서히 늘어나는 점도 풀어야 할 숙제다.

인도가 영국에서 독립했던 1947년에는 중위연령(전체 인구를 연령순으로 나열할 때 가운데 있는 이의 연령)이 21세, 60세 이상의 비중이 5%였는데 지금은 중위연령과 60세 이상의 비중이 각각 28세와 10%로 증가했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고 나면 경제활동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나이 든 세대에 대한 부양 부담이 급증할 수밖에 없는 구조인 셈이다.

끝없이 몰려드는 이주노동자로 인한 도시 인구 과밀도 문제로 지적된다.

극심한 빈부 격차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2022년 세계 불평등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인도 상위 부유층 1%와 10%는 인도 전체 부의 22%, 57%를 각각 차지한다. 하위 50%가 가져가는 부는 전체의 13%에 그쳤다.

국제인도주의단체 컨선월드와이드가 집계한 2022 세계기아지수에 따르면 인도의 기아 위험도는 조사 대상 121개국 가운데 107위로 스리랑카(64위), 방글라데시(84위) 등 이웃 나라는 물론 북한(97)보다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극소수에게 부가 집중되면서 서민의 삶은 세계 최빈국 수준으로 궁핍해진 것이다.

시골 가구의 40%가 상수도 시설이 없는 주택에서 생활하고 있고, 15∼49세 여성 중 절반이 빈혈에 시달리는 등 경제·보건 인프라가 취약한 점도 경제 성장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푸남 무트레자 인도인구재단 이사는 뉴욕타임스에 "(인도의) 젊은 인구는 경제에 기여할 수 있는 거대한 잠재력을 갖고 있다"며 하지만 이를 활용하려면 인도 정부는 교육뿐 아니라 보건, 영양 공급, 취직 관련 기술 등에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포토/영상
이동
메인사진
무제2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