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11월 테이퍼링(채권 매입 축소) 가능성이 부상하고 있다. 최근 고용 지표 부진 탓에 내년 이후로 넘어갈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지만, 물가 상승이 예사롭지 않으면서 테이퍼링 시기가 앞당겨지고, 내년부터는 기준금리 인상 역시 논의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0일(현지시간) “연준이 오는 21~22일 FOMC 회의를 통해 테이퍼링을 시작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제롬 파월 의장이 11월 개시에 대한 신호를 줄 수 있다”고 보도했다. 연준 제롬 파월 의장과 함께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인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도 최근 “올해 말 테이퍼링을 시작하는 게 적절할 것”이라며 “인플레이션의 조건은 분명히 충족됐다”고 말했다. 실제 이날 나온 미 노동부의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월 대비 8.3% 상승했다. 2010년 11월 통계 산출 이후 최고치다. 테이퍼링 세부 계획과 관련해서는 매달 일정한 수준으로 축소해 내년 중반까지 자산매입 프로그램을 완전히 끝내는 방식이 거론되고 있다. 연준은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경기 침체를 방어하기 위해 매달 국채 800억달러, 주택저당증권(MBS) 400억달러 등 총 1200억달러의 채권을 사들이는 식으로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해왔다. 테이퍼링의 종료는 곧 기준금리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저작권자 ⓒ 세종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테이퍼링, 유동성, 연준, fed, vkdnjf, 윌리엄스, 노동부, 생산자물가지수, 국채, 주택저당증권 관련기사목록
|